티스토리 뷰
기존에 작업 중이던 virtualbox + vagrant로 쿠버네티스 환경 프로비저닝 + 쿠버네티스로 이것저것 해보기에 난관이 생겼다.
쿠버네티스 환경 자체에는 문제가 없지만, virtualbox 상의 네트워크 설정 중 virtualbox 7 버전과 구형 mac 간의 네트워크 설정에 문제가 있어, 삽질하면서 해결하다가 docker desktop에서도 멀티 노드 구성이 가능해졌다는 것을 발견했다.
docker desktop 4.38 이상 버전에서 kubeadm 대신 kind를 이용하여 멀티 노드 환경 구축이 가능하다.
https://docs.docker.com/desktop/features/kubernetes/
Deploy on Kubernetes
See how you can deploy to Kubernetes on Docker Desktop
docs.docker.com
(단, 도커 허브 로그인 필수)
docker desktop 버전을 4.38 이상으로 업데이트 후, 설정에 들어가면 kubernetes 설정이 있는데, 여기서 kind를 선택하고, 원하는 노드 개수를 골라주면 된다.

설정 후 apply & restart 를 해주면 자동으로 로컬과 control plane 노드를 연결해주며, 로컬에서도 kubectl 등의 명령어 수행이 가능해진다.
만약 기존에 minikube, GKE 설정 등으로 로컬에서 이미 kubectl이 가능한 경우, kubectl을 도커 데스크탑으로 연결시켜줘야 한다.
https://docs.docker.com/desktop/features/kubernetes/#using-the-kubectl-command
kubectl config get-contexts
kubectl config use-context docker-desktop
나는 4개의 노드를 선택했고 아래와 같이 동작됨을 확인할 수 있다.
(1개 control plane, 3개 worker로 설정됨. 마스터 노드 여러 개 설정은 아직 안 되는 듯 하다.)
➜ ~ kubectl get nodes
NAME STATUS ROLES AGE VERSION
desktop-control-plane Ready control-plane 29m v1.31.1
desktop-worker Ready <none> 28m v1.31.1
desktop-worker2 Ready <none> 28m v1.31.1
desktop-worker3 Ready <none> 28m v1.31.1
'메모 > kubernet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쿠버네티스 파드 관련 기본 명령어 (0) | 2025.03.22 |
---|---|
kubetctl, kubelet 기능 검증 테스트 (0) | 2025.03.08 |
쿠버네티스 주요 구성 요소 (파드 배포 중심) (0) | 2025.02.28 |
vagrant 이용한 kubernetes 환경 프로비저닝 (0) | 2025.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