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IST PQC round 3까지 통과한 서명 스킴인 dilithium 논문 리뷰를 해봅니다. PQC, lattice를 위주로 연구하는 중은 아니어서 security 관점이나 이런 부분은 잘 모르기 때문에 생략하도록 하고, 전체적으로 스킴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 지 위주로 살펴보겠습니다. dilithium 의 최종 페이퍼는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Shi Bai, Léo Ducas, Eike Kiltz, Tancrède Lepoint, Vadim Lyubashevsky, Peter Schwabe, Gregor Seiler and Damien Stehlé - CRYSTALS-Dilithium, Algorithm Specifications and Supporting Documentation, 2..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2022학년 전기 석사 신입생으로 입학하게 되었습니다. 컨택한 연구실 랩장 형님께서 공부해오라고 하신 blind signature 내용을 간단히 정리하겠습니다. https://sceweb.sce.uhcl.edu/yang/teaching/csci5234WebSecurityFall2011/Chaum-blind-signatures.PDF David Chaum이 1983년 발표한 blind signature는 서명하는 사람이 서명하는 내용이 어떤 것인지 모르게하기 위한 것입니다. 논문 원본 내용을 그대로 빌려 쓰자면, "어음과 같은 익명 지불 시스템은 통제와 보안에 취약하다. 지불에 대한 증명 부족과 훔쳐진 것인지, 암시장에 의한 것인지 등의 문제가 있다." 로 표현합니다. (지금은 은행 ..
https://cryptocontest.kr/ 2021 암호분석경진대회 CRYPTO ANALYSIS CONTEST cryptocontest.kr 6번 문항은 암호구현 문제입니다. 비트슬라이싱이라는 기법을 사용하지 않으면 0점을 주는 무시무시한 문제입니다. 하지만 이번 문항을 계기로 비트슬라이싱에 대해 알게 되어 좋았습니다. 처음 문제를 풀 때 코드가 잘못된 걸 보고 0초만에 최적화를 시켰었습니다 (사실 문제가 잘못된 거여서 말해줘서 수정해주심) 같은 팀원인 친구가 2번도 문제 잘못됐다고 지적해서 바꿨었는데 이런 부분에서 가산점은 없어서 아쉽습니다... (익명으로 질문해서 우리 팀인지 당연히 모르신다....) 최적화를 시킬 코드는 해당 홈페이지에 게시되어 있고, 아두이노 우노 버전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
https://cryptocontest.kr/ 2021 암호분석경진대회 CRYPTO ANALYSIS CONTEST cryptocontest.kr 4번 문항은 부채널분석 문항입니다. 해당 암호화된 이미지와 전력분석 파일은 경진대회 홈페이지에 첨부되어 있습니다. 부채널분석 문항의 경우 작년에 상도 받았었기에 자신있었던 문항이었지만, 의외로 구해야 할 것이 너무 많아 실수할 부분이 많은 문제였습니다. 하지만 논문의 내용을 잘 따라가며 실수만 하지 않는다면 잘 풀 수 있습니다. 실제 암호화된 이미지의 경우 위와 같습니다. 이제 주어진 전력을 활용하여 이를 복구하고 키도 구해야합니다..... 제가 참고하였던 논문은 https://tches.iacr.org/index.php/TCHES/article/view/839..
https://cryptocontest.kr/ 2021 암호분석경진대회 CRYPTO ANALYSIS CONTEST cryptocontest.kr 3번 문제는 암호응용 분야입니다. 최근 이슈인 암호화폐 중 비트코인 스크립트를 활용하여 구현하는 문제였습니다. 고등부와 공통 문항으로 그렇게 어렵지 않은 문제입니다. 코드짜는데 하루 풀이 쓰는데 하루 썼던 기억이 납니다. 파이썬을 활용하여 구현하였고, 실행결과 이미지는 exe 파일로 제출을 했었기에 윈도우 커맨드 창입니다. 현재 BOB에서 암호화폐 관련 프로젝트를 진행 중인데 지금의 지식 상태로 이 문제를 풀었다면 좀 더 깔끔한 결과가 나왔을 것 같은 아쉬움이 듭니다. 3-1번 문제의 경우 간단한 스택 프로세서를 구현하는 문제였습니다. 동작은 숫자1, 숫자2, ..